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unnel
- 카카오톡
- 구글검색광고
- 스케치퀴즈
- 사이드프로젝트
- 카카오톡공유하기
- submodules
- 부업
- 이터널리턴
- 코딩공부
- nestjs
- git
- Kotlin
- 개인앱
- 토이프로젝트
- 블랙서바이벌
- 광고플랫폼
- 펀널
- 플러터
- 캐치마인드
- Redis
- git pull
- nodejs
- 메모장앱
- 개발자를_위한 #PPT팁
- 스케치데브
- 라인광고플랫폼
- 영원회귀
- 페이스북광고
- 룩백
- Today
- Total
목록생각정리/유튜브 (10)
가을기 Workspace
https://youtu.be/J8eB39dFCPo?si=uOgNuITVGCYBqYrM 인간의 사고 시스템엔 감정의 영역, 오토파일럿 시스템1과 이성의 영역, 능동적인 시스템2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이 시스템2로만 사고한다고 인지한다. 틀렸다. 95%의 행동과 생각이 시스템1에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가치관의 충돌이 있을때 시스템 1에서 이를 생명의 위협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오해가 생기면 서로 갈라지고. 본인과 다르면 바로 위협으로 받아들이는 유튜브 댓글들. 그래서 다투게되고, 오해가 생겨 갈라지고 욕하고. 문명화 된 삶에서 인간에겐 보다 이성적인 사고가 필요한데, 우리의 뇌가 자꾸 "자동항법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것. 그리고 이 자동항법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간의 의사 결정..
https://youtu.be/nc2d8WT6Khg?si=47eYP0MCu7rKO2_0' 1)미국에선 대학을 졸업하고 자기 모교에 기부금을 내는 것이 활성화되어있다. 세제혜택도 확실하고, 이력서에 그 대학은 언제나 따라다닐테니 대학이 잘나가면 잘나갈수록 본인에게 돌아올테니까. 아이비리그 대학 하나에 들어오는 기부금이 프랑스 대학 전체의 운영비보다도 많다고. 아마 이는 미국이 GDP가 압도적이라 가능한 측면도 있을 것 같다. 한국에서 이런 시스템을 만들었을때 기부금은 충분히 모일 것인가.2)기부금 덕에 대학은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입학인원수에 구애받지 않아도, 정부나 국민눈치를 보지 않아도 된다는 것. 그래서 다분히 공정성에 의거한 “공부와 시험성적”이라는 단일한 기준으로 줄세워 점수를 매..